Loading...

송상현광장

소개

임진왜란을 일으킨 왜군은 1592년 4월 14일 부산진성을 함락 후 동래읍성으로 진군하였고, 성을 공격하기에 앞서 왜군은 취병장(吹兵場, 현 동래경찰서)에 군사들을 집결시킨 후 백여명의 병사들을 시켜서 동래읍성 남문으로 보내어 목패(나무로 만든 패)에다

“싸우려면 싸우고 싸우지 않으려면 우리에게 길을 빌려달라”
[전즉전의 부전즉가도(戰則戰矣, 不戰則假道)] 글을 써서 남문 밖에 세워두고 돌아갔다. 이에 동래부사 송상현은 목패(나무로 만든 패)에다

“싸워서 죽는 것은 쉽지만 길을 빌려주기는 어렵다”
[전사이 가도난(戰死易 假道難)]


고 써서 적진에 던져 결사항전(決死抗戰, 죽을 각오로 맞서 싸움)을 표명하였다.

1592년 4월 15일 왜군은 동래읍성을 포위하고 전투를 시작하였고, 동래부사 송상현은 병사를 이끌고 적에 대항하여 싸웟으나 중과부적(衆寡不敵, 적은 수로는 많은 적을 대적하지 못한다)으로 성이 함락되자 갑옷위에 조복(朝服, 관원이 조정에 갈 때 입는 예복)을 받쳐 입고 장렬히 전사하였다. 왜군은 송상현 동래부사의 충렬을 기려 동문 밖에 장사를 지내주었다고 한다.

송상현광장 조성의미

송상현광장이 자리한 이곳은 예부터 ‘모너머 고개’라 불렸다. 지금은 고개라 느낄 수 없을 정도의 평지가 되었지만 과거에는 이곳을 경계로 부산의 안과 밖이 나뉘었다.

육지와 바다, 동래부와 부산부, 금관가야로부터 이어져 온 꼿꼿한 선비정신과 바다를 향한 거침없는 개척정신이 이곳을 중심으로 갈리었다. 이곳은 부산의 다양한 정체성이 나뉘는 경계지점이자, 다시 하나로 모여드는 중심이었던 것이다.

1978년 송상현 공의 동상을 이 자리에 모신 것도 이러한 역사성을 감안한 것이었다.

산업화 과정을 거치는 동안 이곳은 차량통행을 위한 도로로 바뀌었다. 1972년에는 도시 시설 확충을 대비하여 약100미터 폭의 도시계획시설(도로·광장)로 결정되기도 했다.

그러나 부산시민들은 이곳이 자동차를 위한 도로가 아니라 시민을 위한 공간으로 바뀌기를 희망하였다. 이러한 시민들의 간절한 바람을 부산시가 받아들여 2010년 8월 이 땅을 광장으로 조성하기로 결정하고, 명칭과 설계를 공모하여 지금에 이르게 되었다.

송상현광장은 온고이지신(溫故而知新 옛 것을 알면서 새 것도 안다)의 의미를 담고 있다. 즉 이땅의 역사를 후세에게 알려 더 밝은 미래를 이루어가는 공간으로 탄생시키고자 하였다. 광장의 조성 내용을 보면 송상현 공과 모너머 고개에 얽힌 역사성을 체험하고 기념하는 역사마당, 시민들의 다이내믹한 활동 공간을 담을 수 있는 다이내믹 부산마당, 시민들이 풍요로운 문화를 즐기며 삶의 품격을 누릴 수 있는 문화마당으로 조성하였다.

이 광장은 완성형의 광장이 아니라 미래를 위한 진행형 광장이다. 이 광장의 주인은 오로지 시민이다. 시민적 염원에서 시작되어 시민들의 희망을 담을 수 있는 광장으로 탄생되었기에, 이제 부산시민들이 주인이 되어 송상현광장을 미래형 광장으로 가꾸어 나가기를 희망한다.

흐름과 소통의 공간 모너머고개

01.전근대 중심지 동래와 모너머고개
  • 행정적, 경제적으로 부산과 동래를 이어주던 소통의 공간
  • 임진왜란 때 부산에서 동래로 침략하던 길목
  • 동래부사, 상인들 통행로
  • [해동제국기]의 [동래부산포지도]에 ‘馬飛乙外峴(마비을외현)’
  • [부산고지도]에 ‘馬飛峴(마비현)’
  • [朝鮮地誌資料-조선지지자료] ‘馬飛峴과 末越峴(마비현과 말월현)’
02.중심지의 이동과 모너머고개의 근대화
  • 1876년, 초량왜관(조선 후기 부산 중구 남포동 일대)이 전관거류지(외국 영토에서 어느 한 나라의 행정권, 경찰권이 행사되는 지역)로 개방_ 조일수호조규(강화도 조약의 정식 명칭)와 그 부록
  • 용두산 공원 주변의 근대도시화_ 부산부청, 각종행정기구, 상업시설, 회사, 공장 등
  • 부산과 동래를 연결하기 위해 1909년 경편철도(규모가 작은 철도) 1915년 전차의 개통-동래는 휴양지
  • 근대와 전통을 구분 혹은 연결하는 길목
03.근대화의 중심으로 편입된 모너머고개
  • 1930년대 후반부터 서면 부근은 공업지대로 변화
  • 1937년 : 시가지 계획으로 공공시설 개선 및 도로, 하천 등 정리와 각종 군사시설이 등장
  • 1942년 10월: 동래군이 부산부로 편입
  • 전쟁말기 : 1945년 적기선(동해선 우암선) 개통, 부전역 기능변화, 경마장 군사기지화, 모너머고개 일본군 훈련장 15헌병대 - 미군에서 한국군 15헌병대로 이어짐

분절의 공간이 된 모너머고개

01.주택지대로 변하는 고개 주변
  • 한국전쟁과 공업화로 인한 고개주변 인구의 증가
  • 60년 전후 공동묘지 철거로 주택을 지을 땅이 만들어지면서 인구가 급격히 증가
  • 서면지구의 공업시설의 밀접 지역인 모너머고개 주변은 무질서한 주택지로 변함
02.단절된 공간과 비장소성
  • 동해남부선과 적기선(동해선 우암선)의 건설로 인한 구분
  • 서면과 동래를 연결하는 대로의 건설
  • 하야리아부대와 15헌병대와 같은 군부대